바로가기 : 미세먼지 종합포털 홈

지역별 현황

부산지역 항만 미세먼지 이슈와 저감 방안

  • 2021-01-12
  • 환경부
  • 조회수 979
  • 첨부파일 0개

○ 부산 미세먼지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항만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항만시설의 친환경 인프라 구축과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항만구역 미세먼지 대응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부산연구원은 11일 이와 같은 내용의 BDI 정책포커스‘부산지역 항만 미세먼지 이슈와 저감 방안’보고서를 발표했다.


○ 보고서에 따르면 항만 하역장비, 화물차량, 선박에서 배출되는 가스상 오염물질의 2차 생성물질이 부산시 미세먼지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2차 생성 미세먼지가 부산 전체 미세먼지의 50%를 넘고 있다.


○ 이 같은 2차 마세먼지 생성의 원인이 되는 가스상 오염물질은 항만시설, 화물차량, 선박에서 다량 배출되고 있다. 2019년 기준으로 부산지역 항만시설에서 질소산화물 4,735톤, 휘발성유기화합물 449톤이 배출됐다. 부산 항만구역 화물차량 운행으로 질소산화물 3만9721톤, 휘발성유기화합물 1829톤이 배출됐다. 부산해역 운항 선박에서는 질소산화물 약 2만8000톤, 황산화물 약 7000톤,휘발성유기화합물 약 1000톤이 배출됐다.


○ 보고서를 작성한 허종배 연구위원은“항만시설, 화물차량, 선박에서 기인한 2차 생성 미세먼지 증가가 부산지역 조기사망자 발생률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항만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단기와 중장기 방안을 제시했다.


○ 허 연구위원은 단기 방안으로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 시 출퇴근 시간 화물차량 우회 및 통행제한구역 설정, 항만시설 중 친환경 장비 외 사용 제한 조치를 제시했다.


○ 그는 “고농도 발생 시 항만지역 노후장비의 운행을 중단해 2차 생성 원인 가스상 오염물질의 배출을 적극 차단할 필요가 있다” 며 “2006년 이후 장비를 포함한 항만 장비의 친환경 설비로의 빠른 교체를 통해 미세먼지와 가스상 오염물질을 단기간에 줄여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항만 미세먼지의 특성 규명을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 그는 “항만 및 선박 기인 미세먼지 농도 특성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측정 네트워크를 고도화해야 한다” 며 “항만시설 및 하역장비 인접 지역에 대기오염물질 실시간 농도 모니터링 사이트를 구축하고 장기간 측정 자료를 확보해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선박 배출 가스상 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 중인 선박 배출 대기오염물질 기준을 강화하고 부산연안 해역의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 중·장기 항만 미세먼지 관리를 위해서는 컨테이너세 부과 검토를 제안했다. 그는 “현재 폐지된 컨테이너세를 환경부담금 명목으로 부활시켜 부산 시민의 선박·항만 기인 대기오염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는 사업에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보고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철도와 운하 등을 활용한 컨테이너 운송 방안을 마련하고, 화물차량의 항만지역 출입을 원천 봉쇄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제로화하는 그린포트 전략도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낙동강을 통한 양산지역 물류단지 이송이나 철도시설을 활용한 화물 이송 등을 통해 도심 진입 화물차량을 최소화해 항만 미세먼지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저감한다는 것이다.